[Backend] Domain-Driven Design(DDD)와 Hexagonal Architecture
·
Backend
최근 구직을 하면서 많은 채용 공고를 보았는데 자주 눈에 들어오는 단어가 있었다.DDD를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가를 보는 회사들이 꽤나 있었다.들어보기는 했던 개념이였는데 지금까지 전통적인 아키텍처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를 주로 사용했던터라 익숙하지는 않지만 진행하던 사이드 프로젝트에 DDD와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도입해보기로 하고 전부 리팩토링 하는 과정을 거쳤다. DDD와 헥사고날 아키텍처에 대해서 알아본 개념들과 사이드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을 했는가에 대해 작성해보려 한다. 1. Domain-Driven Design (DDD)란?복잡한 도메인을 이해하고, 그 지식을 기반으로 핵심 도메인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방법론 (GPT 왈)1.1 A..
[Backend] 동시성 이슈와 해결 방법 알아보기
·
Backend
1. 동시성 문제란?📒 개념여러 작업이 동시에 실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오류나 데이터 충돌 현상공유 자원에 여러 스레드, 혹은 사용자 요청이 동시에 접근하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음 📒 예시재고 감소 문제동시에 재고 감소 요청이 2개가 들어오면 두 요청 모두 quantity = 1을 읽고 0으로 만들고 저장결과적으로 재고가 1이 줄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2개가 줄어들 수 있는 상황val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productId)if (stock.quantity > 0) { stock.quantity -= 1 stockRepository.save(stock)} 게시글 좋아요 수 증가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요청을 하면 값이 덮어씌워져서 좋아요 ..
MySQL 트랜잭션 격리 수준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1. 트랜잭션이란?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SQL 작업을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처리하는 것모든 작업이 성공하면 COMMIT, 하나라도 실패하면 ROLLBACK을 수행하여 변경 사항 취소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 ✔️ 트랜잭션이 필요한 이유 ✔️데이터 정합성 보장 트랜잭션이 없으면 일부 쿼리만 성공했을 때 데이터 불일치 발생장애 발생 시 안전한 복구ROLLBACK을 통해 안전하게 복구 가능동시성 제어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수정할 때 충돌 방지원자적 실행 보장트랜잭션이 적용된 연산은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 2. 트랜잭션 4대 특성 ACID란?Atomicity (원자성)모든 연산이 성공하거나, 하나라도 실패하면 전체 취소Consistency (일관성)트랜잭션 실행 후에도 데이터..
[프로그래머스]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kotlin)
·
공부/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문제n개의 송전탑이 전선을 통해 하나의 트리 형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당신은 이 전선들 중 하나를 끊어서 현재의 전력망 네트워크를 2개로 분할하려고 합니다.이때, 두 전력망이 갖게 되는 송전탑의 개수를 최대한 비슷하게 맞추고자 합니다.송전탑의 개수 n, 그리고 전선 정보 wir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선들 중 하나를 끊어서 송전탑 개수가 가능한 비슷하도록 두 전력망으로 나누었을 때, 두 전력망이 가지고 있는 송전탑 개수의 차이(절대값)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n은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wires는 길이가 n-1인 정수형 2차원 배열입니다.wires의 각 원소는 [v1, v2] 2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력망의 v1번 송전탑과 ..